김칫국부터 마신다의 일본어 속담은? 捕らぬ狸の皮算用

일본어 표현 정리/일본어속담 2025. 5. 15. 21:41

반응형



속담의 뜻

らぬたぬき皮算用かわざんよう
“잡지도 못한 너구리 가죽값부터 계산한다”는 뜻으로,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해
미리 기대하고 계산부터 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하는 속담입니다.



자세한 해석

  • らぬ : 잡지 못한
  • たぬき : 너구리
  • かわ : 가죽
  • 算用さんよう : 셈, 계산

아직 너구리를 잡지도 않았는데
그 가죽을 얼마에 팔 수 있을지를 따지고 있는 모습은
결국 헛된 기대에 불과하지요.
이 속담은 성급한 기대와 계획
얼마나 허무하게 끝날 수 있는지를 경고합니다.



활용 예문

A:賞金しょうきんたら、あたらしいパソコンうつもり!
(상금 받으면 새 컴퓨터 살 거야!)

B:まだ結果けっかてないじゃん。
それ、らぬたぬき皮算用かわざんようだよ。
(아직 결과도 안 나왔잖아.
그건 너무 김칫국부터 마시는 거지.)



교훈과 해석

희망을 갖는 건 좋지만,
지나친 기대는 오히려 실망으로 돌아오기 쉽습니다.
일이 실제로 이뤄졌을 때 계획을 세우는 것이
훨씬 현명한 태도일지도 모릅니다.
먼저 현실을 보고, 그 위에서 꿈을 그리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걸
이 속담은 조용히 일러줍니다.



관련 일본어 표현

  • 皮算用かわざんよう
    (아직 실현되지 않은 일을 셈에 넣음)
  • 夢物語ゆめものがたり
    (꿈 같은 이야기, 실현 가능성이 낮은 계획)



한국어 속담과의 비교

한국어에도 거의 동일한 속담이 있습니다.
바로 “김칫국부터 마신다”라는 표현.
아직 상황이 확정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기대하고 준비하는
섣부른 마음을 경계할 때 사용됩니다.



영어 속담과의 비교

영어권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 Don’t count your chickens before they hatch.
    (알에서 병아리가 부화되기도 전에 수부터 세지 마라)
  • Putting the cart before the horse.
    (말보다 수레를 먼저 놓다 – 순서를 잘못된 채 서두름)



미래는 준비할 수 있지만,
예상만으로 움직이는 건 언제나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희망은 현실 위에 세워질 때 비로소 힘을 가지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