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는 일상에서 가까운 사람들과 소소한 오해나 갈등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친구, 가족, 직장 동료 누구와도 때로는 말이 꼬이거나 뜻하지 않은 상황 때문에 마음이 상할 수 있죠.
그럴 때 상대방에게 “서운해하지 마”, “기분 나쁘지 않길 바란다”는 뜻을 부드럽게 전하고 싶으실 때가 있으실 텐데요.

영어로 이런 마음을 표현할 때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는 문장이 바로

No hard feelings.

입니다.
이 표현은 문자 그대로 “나쁜 감정은 없다”라는 뜻으로,
오해가 있더라도 서로 감정을 상하지 말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No hard feelings의 의미와 쓰임새

“No hard feelings”는 말 그대로 “화나거나 서운한 마음이 없다”는 뜻이지만,
상황에 따라 조금 더 폭넓게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에게 미안함을 전할 때,
혹은 다툼 후 화해의 뜻을 전하고 싶을 때 자주 사용되죠.

특히 사소한 갈등이나 실수로 상대가 서운해 할까 걱정될 때,
“서운해하지 마”라는 마음을 담아 쓰기에 아주 적절한 표현입니다.


예문으로 보는 No hard feelings

  1. “I’m sorry I couldn’t join you yesterday. No hard feelings, okay?”
    (어제 같이 못 가서 미안해요. 서운해하지 말아요.)

  2. “We didn’t get the contract this time, but no hard feelings, let’s try again next time.”
    (이번에 계약이 안 됐지만 서운해하지 말고 다음에 또 도전해 봐요.)

  3. “If you decide not to come, no hard feelings.”
    (못 오시더라도 서운해하지 않을게요.)


No hard feelings와 비슷한 표현들

비슷한 의미를 가진 표현들이 많지만 각각 미묘한 차이가 있으니 상황에 따라 골라 쓰시면 좋습니다.

  • Don’t take it personally.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마세요.)
    이 표현은 주로 누군가가 한 말이나 행동이 개인적인 공격이 아니니 너무 마음 쓰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 No offense.
    (기분 나쁘게 하려는 건 아니에요.)
    어떤 말을 하기 전에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한 완충 표현으로 씁니다.

  • I hope we’re still good.
    (우리 사이 괜찮았으면 좋겠어요.)
    관계가 불편해질까 걱정할 때 상대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말입니다.

  • Let bygones be bygones.
    (지난 일은 잊자.)
    과거의 안 좋은 일을 덮고 앞으로 잘 지내자는 뜻입니다.


No hard feelings가 들어가는 대화 상황 예시

상황 1: 약속을 지키지 못했을 때
A: “Sorry I was late to the meeting.”
B: “No hard feelings. Let’s start now.”

(회의에 늦어서 미안해요. / 서운해하지 말아요. 이제 시작해요.)

상황 2: 경쟁에서 지고 난 후
A: “Congrats on the promotion! No hard feelings, right?”
B: “Of course not. You deserved it.”

(승진 축하해요! 서운하지 않죠? / 물론이죠. 당신이 받을 만했어요.)

상황 3: 친구가 계획을 취소했을 때
A: “I can’t make it to the party tonight. No hard feelings?”
B: “No worries at all!”

(오늘 파티 못 가요. 서운해하지 않죠? / 전혀요!)


No hard feelings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팁

  1. 표정과 톤
    이 표현은 주로 대화 상대에게 다정하고 부드러운 태도로 전할 때 더 효과적입니다.
    화가 나거나 무뚝뚝한 표정과 함께 쓰면 오히려 반감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2. 상황 파악하기
    서운함이 큰 상황보다는 가벼운 오해나 사소한 실수에 적합한 표현입니다.
    큰 감정싸움이 있었다면 좀 더 진심 어린 사과나 대화가 필요합니다.

  3. 적절한 추가 표현과 조합
    “Sorry”나 “I hope you understand” 같은 말과 함께 쓰면 더욱 진심이 전해집니다.
    예) “Sorry about the mix-up. No hard feelings, right?”

  4. 비즈니스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
    직장 내 가벼운 갈등이나 경쟁 상황에서도 부담 없이 쓸 수 있어,
    프로페셔널한 분위기에서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 됩니다.


마무리하며

“No hard feelings”는 단순한 문장처럼 보여도
관계의 긴장을 풀고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큰 힘이 되는 표현입니다.

서운한 감정을 표현하면서도 부담스럽지 않고,
또한 상대방에게 화해와 배려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을 때 꼭 기억해 두세요.

이 표현을 적절히 사용하면,
더 건강하고 원활한 인간관계를 이어 가는 데 분명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