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의 뜻

大山たいざん鳴動めいどうしてねずみ一匹いっぴき
“큰 산이 울렸는데 쥐 한 마리 나왔다”는 의미로,
큰일이 일어날 것처럼 떠들썩했지만 실제로는 별것 없는 결과에 그쳤다는 뜻의 일본 속담입니다.

즉, 크게 떠들고 기대하게 했던 일이나 사건이 알고 보니 사소하거나 실속 없는 경우를 비유합니다.



자세한 해석

  • 大山たいざん : 큰 산
  • 鳴動めいどう : 큰 소리가 울려 퍼짐
  • ねずみ : 쥐
  • 一匹いっぴき : 한 마리

본래 ‘큰 일이 벌어질 것 같다’는 기대와 긴장감이 감돌지만, 실제 결과는 미미하거나 별 볼일 없을 때 이 속담을 씁니다.
어떤 일이 과장되거나 부풀려졌을 때, 실속 없는 상황을 비판하거나 풍자하는 표현입니다.



활용 예문

예문 1
会議かいぎ大変たいへんだったけど、結局けっきょくけっまったのはねずみ一匹いっぴきだったね。
→ 회의가 엄청났는데 결국 결정된 건 별거 없었어.

예문 2
かれ問題もんだい大山鳴動たいざんめいどうしてねずみ一匹いっぴきみたいなものだ。
→ 그의 문제는 ‘대소동 끝에 쥐 한 마리’ 같은 거야.

예문 3
ニュースさわいでいたけど、結局けっきょく大山鳴動たいざんめいどうしてねずみ一匹いっぴきだった。
→ 뉴스가 떠들썩했지만 결국 별거 없었어.



이 속담이 쓰이는 상황

  • 큰 소동이나 기대와 달리 결과가 미미할 때
  • 과장된 이야기를 들었을 때
  • 실속 없는 일이나 상황을 풍자하고자 할 때
  • 무언가가 부풀려져서 실망했을 때



비슷한 한국 속담

  • 대소동 끝에 쥐 한 마리
  • 호들갑 떨다가 허탕 치다
  •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 우는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비슷한 영어 표현

  • Much ado about nothing.
  • The mountain labored and brought forth a mouse.
  • All bark and no bite.
  • Storm in a teacup.



마무리 정리

大山鳴動たいざんめいどうしてねずみ一匹いっぴき
크게 떠들고 요란한 소동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별것 아닌 결과가 나온 상황을 풍자하는 일본 속담입니다.

이 속담은 사람들이 과장되거나 부풀린 기대를 갖지 말고,
실제 내용을 냉정히 보고 판단하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일상에서도 불필요한 소란을 피하고, 실속 있는 행동과 판단이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워 줍니다.

반응형